본문 바로가기
건강/야쿠르트,유산균

작은 거인 [야쿠르트 라이트] 성분과효능 집중 분석.

by 란조 2021. 11. 1.
반응형

야쿠르트 라이트-정면모습
한국 야쿠르트:프레딧

원래는 원조부터 시작하려던 계획이었는데 이제야 들고 왔습니다.

한국 야쿠르트의 자존심 원조! 1971년부터 시작해 꾸준한 사랑을 받고 이에 더불어

엄청난 회사로 키워 낸 진정한 맏형입니다.

올해로 50주년을 오직 한길로 지켜오면서 오랜 추억까지 더하며 사랑받고 있는 제품입니다.

처음 출시되고 유산균을 광고할때 많은 분들이 "균"을 판다고.. 즉 병원균으로 오해를 했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팔린 개수로 500억개를 넘었다고 하니 1인당 1000병 정도로  계산됩니다.

 

김일곤 hy유제품CM 팀장은 "야쿠르트는 이번 식약처 인증을 통해 단순히 건강음료나 식후 디저트가 아닌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로 인정받았다"며 "프로바이오틱스는 무엇보다 매일 꾸준히 먹는 것이 중요한 만큼 야쿠르트로 간편하게 건강을 챙겼으면 좋겠다"라고 설명했다.

야쿠르트 라이트 성분 정보를 살펴보겠습니다.

  • 총 내용량 ; 65ml
  • 칼로리 ; 35 kcal
  • 나트륨 ; 15ml
  • 당류 ; 5g
  • 지방 ; 0g
  • 포화지방 ; 0g
  • 단백질 ; 1g
  • 탄수화물 ; 8g
  • 당알콜 ; 0.3g
  • 트랜스지방 ; 0g
  • 콜레스테롤 ; 0mg
  • 칼슘 ; 35mg

이처럼 조그만한 야쿠르트 라이트 병 하나에 알찬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성분표에서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꼭 보는 편입니다. 어떤 제품이든지 말이죠

다이어트나 깨끗한 혈관을 생각하면서 보는 것은 아니지만, 누구에게나 입 속에 넣기 싫어하는 것들이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또 하나 성분을 업그레이드한 것이 있죠.

야쿠르트 제품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프로바이오틱스!

장기배양으로 장내 생존율이 우수한 "hy2782", "hy7712"가 같이 함유되면서

식약처에서 인증을 받았습니다.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에 도움을 주는 요소입니다. 역시 배변활동의 활발함을 강조합니다.

  • hy2782(락토바 실러 스카 제이)
  • hy7712(락토바실러스 플래티넘) 

한국야쿠르트에서 독자적 장기배양기술를 직접 특허 내 유산균으로 65ml 병 한 개에 보 장균수는

자그마치 100억 cfu입니다!! 대단합니다. 야쿠르트의 기술력이 계속 쉬지 않고 진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야쿠르트 라이트 보관방법으로는

0도에서 10도 사이의 냉장보관을 필수로 하며 간혹 얼려서 긁어 드시거나, 아이스바를 만들어 드시거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냉장고로 꼭 들어가야 되는 제품으로 10도가 넘는 상온에서의 보관은 '보관이 아니게 됩니다'

 

 

모든 분들께 추천드리는 제품이지만

그중에서도 

야쿠르트 라이트 이런 분께는 강력 추천합니다!

  • 장이 편하기를 원하시는 분
  • 화장실을 다녀온 후에도 시원함을 느끼지 못하시는 분
  • 규칙적인 배변활동을 원하시는 분
  • 장 건강관리로 건강한 습관을 만들고 싶으신 분
  • 라이트 제품을 원하시는 분

군 시절 식사 후에 나왔던 야쿠르트, 지금도 가끔 어느 식당에서는 식후에 서비스로 야쿠르트가 나오는 곳도

있습니다. 아 참 예전에 노량진 쪽 학원가 근처 한식뷔페에서 쭉 나열되어 있던 것도 생각납니다. 

 

한국 야쿠르트에게 전합니다.

언제나 건강을 생각하고 믿을 수 있는 기업으로의 발전을 희망하고 지금까지의 발걸음만큼

앞으로의 발걸음도 믿음의 기업 건강의 기업으로 대한민국 국민들의 인식 속에 자리 잡고 나아가기를 

바라며 더 많은 발전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합니다.

 

 

 

헬리코박터 윌 유산균의 강력한 효능 총정리!

 

헬리코박터 윌 유산균의 강력한 효능 총정리!

한국 야쿠르트가 hy로 사명을 바꾼 것을 많이 알고 계실 겁니다. 야쿠르트하면 역시 발효유 이겠지요? 물론 사업 확장으로 인해 새로운 브랜드도 생겨나고 , 프레딧이라는 친환경 쇼핑몰 등 여러

diggingdeep7438.tistory.com

 

반응형